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군중 속에서 위기에 처했을 때-방관자 효과

by ola-ola 2024. 5. 30.

[심리학] 군중 속에서 위기에 처했을 때-방관자 효과

우리는 살면서 누군가 위험에 처했을 때, 주변에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다는 비정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우리가 그런 것을 접하면서 비정함을 느끼고 공포를 느끼는 이유는 그게 피해자가 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내가 피해자와 같은 상황에 벌어질 경우 그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방관자 효과 표지.현대 도시인

방관자 효과 (  bystander effect )

뉴욕에서 한 여성이 퇴근길에서 일면식이 없는 범죄자에게 주거지 근처에서 사건이 벌어졌다. 새벽에 수많은 사람들이 창문을 통해서 보고 있는데 사건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 때문에 뉴욕의 신문들과 언론들이 난리가  났다.

 

장소가 일반 주거지였고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었으며, 심지어 창문을 열고 서로 쳐다보는 시민들도 있었다고 한다. 서로 간의 대치로 주변은 매우 시끄러웠다고 하고 구경하는 사람들도 많았으니 인식하지 못해서 신고를 안 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건이 벌어지고 주변에 사람들이 많았던 것에 비해 신고가 늦게 이루어져서 결국 피해자는 안타까운 생명을 잃게 된 것이다.

 

이른바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의 무관심으로 유명한 제노비스 사건이다.(1964년) 

 

어떠한 일이 발생해서 긴급히 행동을 해야 할 때, 주위에 사람들이 많으면 오히려 자신은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저 사람이 신고하겠지. 저 사람이 말리겠지. 내가 괜히 끼어들어서 나만 피해를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건 사고를 뉴스로 접하게 되면 우리는 비정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이기적인 관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존재가 방관자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방관자 효과

방관자 효과는 국, 내외 뉴스에서도 볼 수 있다. 단순히 문화인식이나 도덕성의 문제라고 하기에는 그 불안감을 떨치기가 어렵다. 방관자 효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은 동조효과이다. 3인이 어떠한 행동을 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횡단보도에서 갑자기 멈춰서 3명 이상 하늘을 쳐다보면 주변 사람들도 같이 하늘을 쳐다본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이다. 실제로 3~4명일 때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다고 한다. 쓰러진 대형버스를 사람들이 힘을 합쳐서 움직여 사람을 구한 사건들은 누구 할 거 없이 사람들이 순식간에 힘을 합치는 동조효과의 긍정적인 반응이라고 하겠다. 진화 심리학적 측면에서 보면 집단의 행동과 같이 움직여야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이러한 방관자 현상이 나타날 때 어떠한 행동으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것일까?

 

   

 

방관자 효과의 활용 

방관자 효과를 활용하는데 핵심적인 내용은 특정인을 지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힘을 합쳐 피해자를 도와주어야 할 경우- 주변 불특정 다수에게 도와 달라고 요청하면 방관자 효과로 좋은 결과를 나오게 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주변 사람들 중 눈을 맞추고 직접 같이 하자고 요청해야 한다.

 

특히 본인이 피해자인 위급한 경우에 이 방법은 특히 요긴하다. 반드시 특정인에게 집중해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파란색 모자 아저씨 도와주세요 같은 식이다. 그럴 경우  지목을 받은 당사자들이 직접 행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라도 도움을 주기 위해 움직인다면 동조효과가 나타날 가능성도 높아 짐으로 주변 군중의 힘으로 인하여 위기에서 벋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 군중들은 방관자 효과 때문에 행동을 안 할 가능성이 있다.

 

- 도움을 받아야 할 경우 매우 확실하게 특정인을 지목해서 도움을 요청해라.

 

- 도움을 주어야 할 경우에도 특정인을 지목해라. 군중들이 동조효과로 힘을 합칠 가능성이 높다.

 

 

방관자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정인을 지정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