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왜 서로 다르게 기억할까? 기억 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by ola-ola 2024. 5. 29.

왜 서로 다르게 기억할까? 기억 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Schema )

우리는 같은 공간에서 같은 추억을 쌓고 경험을 한다. 세월이 흐른 후, 과거의 기억을 이야기할 때, 서로 다르게 기억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일까? 

 

 

기억의 원리 스키마표지.

기억의 원리-스키마 ( Schema )

심리학에서는 스키마를 기억을 저장하는 방식의 틀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수많은 현상을 겪으면서 기억을 하는데 이럴 때 자신의 머릿속에 저장할 때 각자 나름의 방식과 틀이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인식체계 또는 개념이다. 저장할 때와 마찬가지로 어떤 정보를 구성하고 해석하는데도 그 방식이 적용이 된다.

 

 스키마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프레더릭 찰스 바틀릿라는 심리학자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학생들에게 하나의 인디언들의 '유령의 전령'이라는 들려주고 15분 후 몇 개월 후 기억을 다시 소환하게 하였다.

 

이후에 각자 가진 문화의 차이로 인하여 기억의 왜곡 현상이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검은 형태의 공포스러운 장면을 기억하는 분류가 있고 그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분류들이 생기는 것이다.

영국인들은 내용중 누군가 다가오는데 숨는 것, 한 명이 다쳤다고 전투를 중지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다고 한다. 그들의 문화의 가치관과 맞지 않아서라고 한다.

 

스키마의 실험 이후 중요한 실험이 또 하나 있는데 심지어 기억을 왜곡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스키마의 실험은 이후 유명한 실험이 있는데, 1995년 로프터 교수( Elizabeth Loftus )의 "쇼핑몰에서 길을 잃다"라는것이다. 대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유아시절 추억을 적은 내용 3가지를 쓰게 하고 거기서  쇼핑몰에서 길을 잃었다는 거짓된 기억력을 적용한 내용을 같이 넣었다. 준비된 책을 잃은 후 무려 25%의 학생들이 실제로 일어나지도 않은 쇼핑몰에서 길을 잃은 기억과 그 상황을 상세하게 묘사를 했다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스키마

우리는 오래된 동창들을 만나거나, 추억을 이야기할 때 종종 서로 다르게 기억하고 있다는 사실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러한 것으로 인하여 분위기가 더 좋아지기도 하고, 분위기가 엄청 나빠지기도 한다.

 

영화로는 이러한 것을 표현한 오! 수정(2000)이라는 영화가 있다. 연예를 하면서 남녀 연인의 기억이 달라서 혼란을 겪게 된다.

 

정보석과 이은주가 연인으로 나오는데.. 초반은 정보석의 기억이고 후반부는 이은주의 기억이다.

서로 만났을 때  떨어트린 냅킨조차 젓가락의 기억하는 등 사소한 기억의 차이가 있고 첫날밤의 불발도 정보석은 이은주가 거부한 것으로 생각하고 이은주는 정보석이 다른 여자 이름을 부른 것으로 기억한다.

 

위의 영화처럼 실제도 이렇게 다른 기억들이 저장되고 회생된다.

 

기억의 왜곡과 거짓 기억은  연인 간의 인생을 돌이킬 수 없는 파국으로 끌고 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심리학]  첫사랑을 못 잊는 이유-자이가르닉 효과

 

    [심리학]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사회적 여과망 이론

 

 

스키마의 활용

무엇보다도 사실을 저장하는 방식과 기억하는 방식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논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로의 스키마가 다르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면 상대방에 대한 이해도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에서도 적용을 하기도 한다. 단어의 내용보다는 기억하기 쉬운 단어의 어휘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의외로 효과가 좋은 경우도 그렇다.

 

자식교육에서도 활용하기 좋은데,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받은 긍정적인 피드백과 스키마는 자식이 인생을 살면서 자신감이 높고 긍정적인 자아스키마를 형성하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창작을 주로 하는 사람은 자신이 생각한 주제의 개념이나 혹은 이미지에 관해서 스스로는 이견이 없다고 생각하더라도 내용을 검색해 보는 게 좋다. 대중이 생각하는 단어의 뜻이나 이미지가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랑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3 줄 요약

1. 기억은 스키마로 인하여 개인 간의 저장기억 방식에 따라 다르게 기억된다.

 

2. 기억의 변형과 기억의 왜곡까지도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스키마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스키마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촉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