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우들리(Udly)사회적 여과망 이론

by ola-ola 2024. 5. 27.

    [심리학]  기억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알아보기

 

    [심리학] 첫사랑을 못 잊는 이유-자이가르닉 효과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우들리(Udly) 사회적 여과망 이론

우리는 대부분 운명적인 사랑을 꿈꾼다. 영화의 운명적인 사랑이나 상황들은 그래서 늘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  운명적인 과정보다는 하나의 여과장치를 통해서 결혼이 이루어진다고 하는 이론이 있다.

 

 

야외 결혼식장.

사회적 여과망 이론

 

심리학자 우들리 ( Udly )는 사회적 여과망 이론(1997)을 발표했다.

 

1. 근접성

 비슷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 중에서 먼저 고른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사회적 반경이 같으면 주위 사람들 소개나 교집합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 매력

자신이 보기에 대충이라도 매력적으로 보이는 사람을 찾는다.

 

3. 사회적 배경

자신과 비교하여  지위나 배경이 비슷한  사람들을 찾는다.

 

4. 의견 일치

그중에서도 자기와 의견이 통하는 사람들을 선택한다.

 

5. 상호보완

자기의  평소 부족했다고 하는 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고 나도 상대방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 중에 고른다.

6. 선택

결혼 준비가 된 사람을 고르는 일련의 과정일 뿐이라고 말한다.

 

 

 

순수한 인연과의 운명적인 결혼만을 생각했다면 뭔가 허탈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주위의 대부분의 사람들을 보면 수긍이 가는 이론이기도 하다. 물론, 이러한 이론이 절대적일 수는 없다.

 

지금도 수많은 연인들이 여행을 하다가 ( 자기 반경이 아니라 ) 운명적인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하거나 사회적 배경이 다른 부부들도 많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이론 또한 실제로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상당히 수긍이 가는 이론인 것이라는 데는 많은 분들이 동의할 것이다. 배우자라는 것은 단순한 선택의 문제를 넘어서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 중에 하나라고 생각된다.

 

주변에서 보면 가족과의 생활이 답답해서 혹은 여타의 이유로 이른바 현실도피 위주의 판단으로 결혼을 결정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에는 비교적 좋은 결말이 안될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가능한 배우자 선택은 신중하게 해야 될 인생 최고의 선택 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연인은 2~30년 정도 가족과 살다가 배우자와는 5~60을 살게 된다. 요새는 100세가 넘어간다고 하니 7~80년의 인생이 걸린 문제이다.

 

그리고, 가족은 자신이 선택할 수 없지만 배우자는 자신이 선택하는 유일한 가족이라는 점이다. 신중해서 나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요새 젊은 세대들의 결혼 가치관에 대한 글을 보면 " 심각하고 진지한 내용을 조용한 분위기에서 서론 의견 교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는 것이다.

 

이것 또한 실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내용 같다.

 

나이가 많으신 어르신 세대 같은 경우 커뮤니케이션적인 측면에서 불협화음을 자주 목격할 수 있는데.. 특히나 중요한 사건이나 일처리에 관해서 서로 의견 교환 시 제대로 커뮤니케이션이 안 되는 것을  보면 배우자 선택 시 고려해 봐야 될 중요한 문제일 것 같다.

 

평이한 결론을 내도 아무 상관없는 주제는 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없다. 결혼 전 진지한 이야기를 자주 나누어 보면 서로 간에 많은 교감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굳이 배우자 선택뿐만 아니라, 사회생활 중에서도 적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방법은 민감한 이야기를 꺼내보라는 말이 있다.

그 반응여부가 상대방이 평소에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나타내주기 때문이다.

    [심리학]  기억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알아보기

 

    [심리학] 첫사랑을 못 잊는 이유-자이가르닉 효과

 

 

이론의 활용

 

한때 인터넷에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하는 편지가 인기 있었다. 여러 가지 좋은 글 중에 위와 관련되어서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는데."지금 너의 주변에 있는 어린 친구들에게 잘해주어라. 나중에는 말도 못 붙여볼 정도의 여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라는 글이다. 이분은 저 이론 없이도 삶의 지혜를 통해서 식견을 가지신 것 같다.

 

본인이 원하는 이상향의 배우자를 만나기 위해서는 평소에 자신의 노력과 주변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운명적인 사랑과 결혼을 꿈꾸는가? 그러면 일단 자신의 주변부터 신경 써야 할 것 같다. 운명적인 사랑은 그렇게 사회적 반경 내에서 여러분들에게 다가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3줄 요약

 

1. 배우자의 대부분은 자신의 주변 영역에서 결정된다.

 

2. 좋은 것뿐만 아니라 민감한 부분에 관해서도 원활히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지 검증하라.

 

3. 그 사람이 당신의 운명적인 배우자가 될 확률이 높다. 

 

    [심리학]  기억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알아보기

 

    [심리학] 첫사랑을 못 잊는 이유-자이가르닉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