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첫사랑을 못 잊는 이유 -자이가르닉(Zigarnik) 효과

by ola-ola 2024. 5. 27.

 

 

첫사랑을 못 잊는 이유 -자이가르닉(Zigarnik) 효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첫사랑을 잊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심리학에서 찾아보면 자이가르닉(Zigarnik)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자이가르닉 효과는 다른 일상생활 속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이어서 알아두면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이가르닉 효과표지.

 

    [심리학]  기억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알아보기

 

    [심리학]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사회적 여과망 이론

 

자이가르닉 효과란?

 

완성된 일보다  미완성된 일에 더 기억하고 집착하는 현상을 말하며, 러시아의 심리학자 블루마 자이가르닉(Bluma Zeigarmik )이 제시한 심리학 이론으로 간단하게 "미완성 효과"라고도 말한다.

 

대학원생 시절 많은 사람들이 주문한 음료수를 완벽하게 기억하는 종업원을 보고 흥미로워서 더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니

그 종업원은 완벽한 주문내용과는 다르게 방금 다녀간 손님의 얼굴도 기억 못 하는 것이었다. 이것을 더 연구해 보니

그 종업원은 완벽히 끝낸 일이기 때문에 다음 일에 집중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심리학 실험을 했는데 과제를 준후 중간에 방해를 받은 집단과 방해를 받지 않은 집단을 비교하였다.

 

그 집단은 이어진 2차 실험의 단어기억력 테스트 헤서 중간에 방해를 받은 집단이 훨씬 낮은 기억력을 보여 주었다는 것이다. 그 이후로 그러한 실험들을 토대로 자신의 이름을 붙여 자이가르닉 효과라는 것을 발표한 것이다.

 

핵심 내용은" 미완성된 일에 더 기억하고 집착해서 그러할수록 다음 일에 그 잔상으로 인하여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자이가르닉 효과

 

첫사랑은  자체만으로도 아련한 기억과 추억을 떠오르게 하지만 그것 또한, 자이가르닉 효과로 설명이 자주 된다.

 

첫사랑은 대부분 서툴고 미숙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사소한 이유로 헤어지기도 하고, 나중에 생각해 보면 안타깝고 후회스러운 일이 많다, 서로가 마음에 없는 말로 헤어지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당연히 마음에 남을 수밖에 없다.

 

일이 어느 정도 정리되지 못한 것들은 그 잔상이 남아서 다음 일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잘 못 생각할 경우 똑같은 사람만 찾는다 던 지 전혀 새로운 사람에게 첫사랑의 모습을 기대하는 경우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새로운 사랑에 충실하지 못하고 강요하거나 불만을 가지게 되는 안 좋은 현상이 발생한다. 

 

사랑하던 연인이 헤어지는 경우에도 끝까지 진심을 다해서 최선을 다했던 측이 이별로 인한 고통에서 쉽게 벋어 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도 이러한 이유로 볼 수 있다.

 

긍정적인 경우도 있는데. 창작자들 중에는 자신의 이전작품이 가장 큰 경쟁자라고 하기도 한다. 이는 오히려 긍정적인 발전으로 이어지기도 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의 바른생활을 위한 잘했어요 스티커를 모으게 하는 것도 일종의 미완성을 완결하고자 하는 심리와 다음 달에는 촘촘히 완성해야지 하는 잔상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해본 일은 후회가 없는 편인데 할까? 말까? 하면서 해보지 않고 고민만 한 일은 나중에라도 잔상이 남아 후회가 된다고들 한다.

 

심리학에서도 실험한 것인데 고민만 하게 한 집단과 계획을 짜게 한 집단의 단어테스트 결과는 고민만 해본 집단이 더 영향을 받아서 단어 테스트 결과가 안 좋다는 것이다.  실제 해본일이거나 어느 정도 정리를 한 것은 결과를 떠나서 잔상으로 인한 피해가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학]  기억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알아보기

 

[심리학]왜 서로 다르게 기억할까? 기억 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왜 서로 다르게 기억할까? 기억 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Schema )우리는 같은 공간에서 같은 추억을 쌓고 경험을 한다. 세월이 흐른 후, 과거의 기억을 이야기할 때, 서로 다르게 기억하는

ola-ola.tistory.com

 

 

    [심리학]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사회적 여과망 이론

 

[심리학]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우들리(Udly)사회적 여과망 이론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우들리(Udly) 사회적 여과망 이론우리는 대부분 운명적인 사랑을 꿈꾼다. 영화의 운명적인 사랑이나 상황들은 그래서 늘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실

ola-ola.tistory.com

 

 

마케팅 속에서 자이가르닉 효과

 

자이가르닉 효과를  콘텐츠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연속된 드라마나 웹툰 같은 경우에도 이러한 효과를 잘 활용한다. 다음 편까지 며칠 동안 시청자를 붙잡아 두어야 하므로 끝 장면에서 궁금증을 유발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승전결로 끝나는 게 아니라, 결기승전으로 해야 하는 것이 효과가 좋을 수 있다.

 

게임 같은 경우에도 사전예약이나 플레이는 못하지만 캐릭터 선정을 먼저 하는데 이것은  미리 소비자의 규모를 파악해서 서버를 준비하는 경우에도 요긴하게 사용되고, 소비자층을 붙잡아 두는 효과가 있다.

 

 

자이가르닉 효과 이용하기

이와이 슌지 감독이 연출한 영화 러브레터의 마지막 장면은 조난사로 죽은 연인에게  그 장소에 간다.

그리고 이어진 장면은 유명하다.

 

오겡기데스까? 와타시와 겡끼데스./ 잘 지내고 계십니까? 저는 잘 지내고 있습니다.

 

라고 하는 명대사와 장면이 있다.

마지막 장면의 아름다운 하얀 설경과 그 대사로 인해 지금도 많이 회자되고 있는 장면이다.

 

조난사로 죽은 연인을 그리워하며 괴로워하던 여자 주인공은 사고가 나서 첫사랑이 죽었던 장소에서 절절한 대사를 한다.  미해결 과제가 완결 상태로 접어든 것이다.

 

물론, 인생에서 완벽하게 완성할 수 있는 일은 사실 그렇게 많지 않다. 다만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외면하지 말고 직면하여 완성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정리를 한다면 그 잔상으로 인한 고통이나 원하지 않는 영향에서 벋어 날 수 있다.

 

게임을 무리하게 플레이하는 경우에도 가능한 플레이 시작 전에  다음에 할 일등을 고려해서 가능한 목표치를 정하고, 그 목표치를 달성하면 플레이 시간을 정리하는 식으로 하는 것이 무작정 시간을 두고 그 시간만 플레이하는 것보다는 그 잔상에서 벋어나기가 쉬운 이치와 같다.

 

낮에 있었던 일 때문에 잠을 못 자고 영향을 받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일기장을 작성하면 좋다. 일기를 쓰면서 사건이 정리가 되기 때문에 오히려 잊기가 쉬워진다.

 

인생은 후회의 연속이라고들 한다. 그리고 모든 일에 진심을 다해서 완성하고 결말을 낸다는 것도 무의미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심리적 효과들을 참조하면 다음일에 본인이 원하지 않는 잔상으로 인해 벌어지는 불 필요한 상황을 줄 이기 위한 조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3줄 요약

1. 서투른 첫사랑이 오래가는 것은  미완성의 집착이라는 자이가르닉 효과 때문이기도 하다.

 

2. 미완성의 집착은 다음에도 잔상이 남아 원하지 않는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3. 다음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정리하고 넘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심리학]  기억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알아보기

 

[심리학]왜 서로 다르게 기억할까? 기억 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왜 서로 다르게 기억할까? 기억 왜곡-기억의 원리 스키마( Schema )우리는 같은 공간에서 같은 추억을 쌓고 경험을 한다. 세월이 흐른 후, 과거의 기억을 이야기할 때, 서로 다르게 기억하는

ola-ola.tistory.com

 

 

    [심리학]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사회적 여과망 이론

 

[심리학]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우들리(Udly)사회적 여과망 이론

나는 누구랑 결혼하게 될까?-우들리(Udly) 사회적 여과망 이론우리는 대부분 운명적인 사랑을 꿈꾼다. 영화의 운명적인 사랑이나 상황들은 그래서 늘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실

ola-ola.tistory.com